다(연계·융합)전공

다(연계)전공 제도란 무엇인가요?

재학 중 2개 이상의 전공을 이수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도로 제1전공 이수를 전제로 제2, 제3전공을 이수할 수 있으며, 이수한 전공별로 학위증이 수여됩니다. 연계전공은 2개 이상의 전공 교육과정을 융합하여 새로운 전공학문 분야를 이수하는 것으로 다전공과 동일하게 학위증을 수여 받을 수 있습니다.

융합전공 제도란 무엇인가요?

다(연계)전공은 제1전공 이수를 전제로 하나, 융합전공은 2개 이상의 전공 교육과정을 융합하여 만든 교육과정을 제1전공을 이수하고 학위를 취득하는 제도입니다. 융합전공은 다전공 또는 부전공으로 이수할 수 있습니다.

다(연계ㆍ융합)전공 신청과 선발은 언제 하나요?

  • ① 6월 첫째주/12월 첫째주 하이포탈에서 신청 가능

    마이포탈(my.hnu.kr) > 우측 중앙 원형 메뉴버튼 > 학적 > 다전공신청/융합전공신청에 서 신청

  • ② 다전공 희망자는 방학 중 선발하여 수강신청 전에 최종 승인여부를 통지 합니다.

다(연계ㆍ융합)전공 신청 자격은 어떻게 하나요?

  • ① 다(연계)전공 신청자격 : 두 학기 이상 이수(예정)한 학생으로서, 4학년 2학기 진급예정자가 아니라면 이수학점, 평점평균 등과 상관없이 신청이 가능합니다.
  • ② 융합전공 신청자격 : 한 학기 이상 이수(예정)한 학생으로서, 4학년 2학기 진급자가 아니라면 이수학점, 평점평균 등과 상관없이 신청이 가능합니다.
  • ③ 제 3전공 신청자격 : 제2전공 신청에서 승인을 받은 학생
  • ④ 다전공 신청 제한사항
    • 건축학(5년제)전공으로 신청하는 경우 (단, 건축공학전공자는 가능)
    • 간호학과 또는 사범대학으로 신청하는 경우 (단, 교직이수자는 사범대학 신청 가능)
    • 교직 미이수자가 교직다전공으로 신청하는 경우

휴학생의 경우 다(연계ㆍ융합)전공 신청은 언제하나요?

  • 직후학기 복학예정자 : 소정의 기간에 신청가능(단, 미복학시 승인취소될 수 있음)
  • 직후학기 복학예정자 이외의 휴학생 : 신청불가

다(연계ㆍ융합)전공 이수에 제한은 없나요?

  • ① 일반다전공 : 입학정원의 50% 내로 승인 가능
  • ② 연계(융합)전공 : 인원에 제한 없이 승인 가능
  • ③ 교직다전공(교직이수예정자만 신청 가능)
    • 교직과정설치 일반학과: 교직승인인원의 2배수 내(전체 다전공 선발인원인 입학정원의 50% 내에 포함하여 선발)
    • 사범대: 입학정원의 100% 내

신청자가 전공별 편제정원 150%(사범대 학생 200%)를 초과할 때의 선발 방법은 무엇인가요?

  • 제 1순위 : 전체 교과목 성적순
  • 제 2순위 : 학부 기초과목 성적순
  • 제 3순위 : 지망전공 교과목 성적순

다(연계ㆍ융합)전공을 중도에 포기할 수 있나요?

신청기간과 동일한 기간(6월 첫째주/12월 첫째주)에 하이포탈에서 포기 가능합니다. 그러나 다(연계ㆍ융합)전공 시작 첫번째 학기에는 포기가 불가능하며, 다전공 시작 후 두번째 학기부터 매 학기 정해진 기간에 포기가 가능합니다.

다(연계ㆍ융합)전공을 포기하고자 할 때 반드시 통합정보시스템에서 포기신청을 해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제1전공과 제2, 제3전공 등록금이 서로 다를 때 다(연계)전공 교과목 수강 여부와 관계없이 등록금 차액의 1/2을 다(연계)전공 신청부터 포기 이전까지 징수하도록 되어 있고, 융합전공의 경우 등록금 차액을 융합전공 신청부터 포기 이전까지 징수하도록 되어 있습니다. 다(연계ㆍ융합)전공 포기 순간에 다(연계ㆍ융합)전공 교과목의 이수기호가 변경되기 때문에 주어진 기간에 통합정보시스템을 통해서 포기를 해야만 본인에게 불이익이 발생하지 않습니다.

계열이 다른 전공으로 다(연계ㆍ융합)전공을 이수할 때 등록금은 어떻게 산정되나요?

제1전공과 다른 계열로 다(연계)전공할 때 계열별 등록금 차액의 1/2을 다(연계)전공 승인 학기부터 납부해야 합니다.

신청절차 없이 다(연계ㆍ융합)전공을 이수하면 어떻게 되나요?

통합정보시스템의 “다전공 신청 및 포기기간”에 다전공 신청을 했는데 선발이 되지 않았다면, 다전공 인정 학점을 취득하였더라도 졸업 시 다전공이 인정되지 않습니다.

다(연계ㆍ융합)전공을 인정 받으려면 몇 학점을 이수해야 하나요?

일반학과(전공) 및 연계전공 : 36학점 이상, 글로벌학부 : 42학점 이상, 법학부 : 48학점 이상, 건축학전공 72학점 이상
융합전공 : 학과별 졸업 최저 이수학점 기준에 따름. 다전공으로 인정받을 시 36학점, 부전공으로 인정받을 시 21학점 이상
단, 2015학번 이후부터 린튼글로벌비지니스스쿨 및 법학부는 36학점 이상

참고1 제1전공만을 이수할 경우 전공을 60학점 이상 취득하여야 합니다. (2019학번부터 66학점)

참고2 교원자격증 취득을 위하여 사범계 학과와 교직과정이 설치된 전공(학과)에서 다전공을 하는 경우에는 2011년 이후 입학생은 제1, 제2전공 각각 전공 50학점 이상을 이수하여야 하며, 이수 대상자는 사범계 학생과 비사범계 교직과정 이수자로 선발된 학생으로 제한됩니다.

제2, 제3전공을 8학기 내에 이수하지 못하면 어떻게 되나요?

제1전공 졸업요건을 만족( 참고1 의 입학년도별 제1전공 졸업이수학점)했으나 제2, 3전공 졸업요건을 충족하지 못했을 경우는 소정의 절차에 따라 제2, 3전공 포기 후 제1전공만으로 졸업을 하게 됩니다. 그러나 제1전공의 학점을 36학점 이상 이수(졸업요건 미충족)하고 제2, 제3전공의 부족한 학점에 대해서만 학점등록을 하여 다(연계)전공을 이수할 수 있습니다.

전공과목은 어떻게 이수해야 하나요?

제2, 제3전공의 다(연계ㆍ융합)전공 시작 시점의 해당 학년 교육과정을 따라야 합니다. 단, 필수교과목(전공필수, 교양필수, 계열교양, 전공기초)은 다전공 승인자의 입학년도 교육과정과 신교육과정의 공통 교과목으로 하며, 입학년도 교육과정이 없을 경우 시작 시점의 해당학년/해당학기의 교육과정을 입학년도로 합니다.

예시 경영학과 2008학번으로 3학년인 A군이 2012-1학기부터 영어영문학전공에서 다전공을 시작하였다면, 전공과목의 이수는 영어영문학전공의 2008년 입학년도 교육과정으로 개설된 전공과 3학년으로 학적변동이 없는 자의 교육과정인 2010학년도 교육과정의 전공과목 중 공통 교과목을 이수하여야 합니다.

계열교양(2016년 입학자까지: 역량기초, 2019년 입학자 이후: 전공기초)과목은 어떻게 이수해야 하나요?

계열교양과목을 반드시 이수하여야 최종 다전공 이수가 가능합니다. 다만, 연계전공 이수자는 계열교양과목이 면제됩니다.

다전공 이수 전에 부전공이나 교양으로 이수한 과목을 인정받을 수 없는지요?

면제과목과 인정과목이 다전공별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다전공 시작 전에 어떤 과목을 인정받을 수 있는지 반드시 확인을 하여야 합니다. 또한 동일과목으로 2 개의 전공에서 동시에 인정받을 수 있는 전공학점은 12학점 이내에서 가능(2019학번부터 6학점)하나, 3 개의 전공으로는 추가 인정을 받을 수 없습니다.

참고1 면제과목이란 : 타 학부로 다전공을 할 때 다전공하지 않는 전공의 학부기초과목 중 이수하지 않아도 되는 과목

참고2 인정과목이란 : 타 학부로 다전공을 할 때 다전공 시작 이전에 이수했던 과목 중 다전공 과목으로 인정받을 수 있는 과목

제2, 제3전공에 대한 졸업논문을 각각 제출해야만 하나요?

다전공 이수자는 제1전공 및 제2, 제3전공(연계전공 포함)에 대한 졸업논문(종합시험, 졸업작품 포함)을 반드시 제출해야 하며, 논문 제출 대상자 확인은 졸업예정신고서 제출기간(후기 : 3월말~4월초, 전기 : 9월말~10월초) 동안에 가능합니다.

신설 또는 통·폐합 등의 사유로 교육과정 개설이 안된 전공(학과)에서의 다전공이 가능한가요?

  • ① 신설 전공(학과) : 3학년 교육과정이 개설되는 학년도부터 다전공 이수가 가능합니다. 다만, 신설 전공(학과)에 대한 다전공 학위는 신설 전공(학과)을 제1전공으로 하는 최초 졸업자가 발생하는 학년도에 수여합니다.
  • ② 통·폐합 전공(학과) : 통·폐합되어 2학년 교육과정이 개설되지 않는 학년도부터 다전공 신청 및 이수가 불가능합니다.

편입생의 다전공시 유의사항은?

  • ① 신청 : 3학년 2학기까지 신청 가능
  • ② 선발 : 타학부 다전공시 본교에서 취득한 성적으로 선발
  • ③ 해당학부의 학부기초과목 및 전공필수를 모두 이수하여야 합니다.
  • ④ 교직다전공의 경우 사범대학 편입생에 한하여 이수할 수 있습니다.

정보관리부서 : 학사관리팀 및 탈메이지교양·융합대학 교학팀

최종 수정일 : 2022-04-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