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연계)전공 제도란 무엇인가요?
융합전공 제도란 무엇인가요?
다(연계ㆍ융합)전공 신청과 선발은 언제 하나요?
마이포탈(my.hnu.kr) > 우측 중앙 원형 메뉴버튼 > 학적 > 다전공신청/융합전공신청에 서 신청
다(연계ㆍ융합)전공 신청 자격은 어떻게 하나요?
휴학생의 경우 다(연계ㆍ융합)전공 신청은 언제하나요?
다(연계ㆍ융합)전공 이수에 제한은 없나요?
신청자가 전공별 편제정원 150%(사범대 학생 200%)를 초과할 때의 선발 방법은 무엇인가요?
다(연계ㆍ융합)전공을 중도에 포기할 수 있나요?
다(연계ㆍ융합)전공을 포기하고자 할 때 반드시 통합정보시스템에서 포기신청을 해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계열이 다른 전공으로 다(연계ㆍ융합)전공을 이수할 때 등록금은 어떻게 산정되나요?
신청절차 없이 다(연계ㆍ융합)전공을 이수하면 어떻게 되나요?
다(연계ㆍ융합)전공을 인정 받으려면 몇 학점을 이수해야 하나요?
참고1 제1전공만을 이수할 경우 전공을 60학점 이상 취득하여야 합니다. (2019학번부터 66학점)
참고2 교원자격증 취득을 위하여 사범계 학과와 교직과정이 설치된 전공(학과)에서 다전공을 하는 경우에는 2011년 이후 입학생은 제1, 제2전공 각각 전공 50학점 이상을 이수하여야 하며, 이수 대상자는 사범계 학생과 비사범계 교직과정 이수자로 선발된 학생으로 제한됩니다.
제2, 제3전공을 8학기 내에 이수하지 못하면 어떻게 되나요?
전공과목은 어떻게 이수해야 하나요?
예시 경영학과 2008학번으로 3학년인 A군이 2012-1학기부터 영어영문학전공에서 다전공을 시작하였다면, 전공과목의 이수는 영어영문학전공의 2008년 입학년도 교육과정으로 개설된 전공과 3학년으로 학적변동이 없는 자의 교육과정인 2010학년도 교육과정의 전공과목 중 공통 교과목을 이수하여야 합니다.
계열교양(2016년 입학자까지: 역량기초, 2019년 입학자 이후: 전공기초)과목은 어떻게 이수해야 하나요?
다전공 이수 전에 부전공이나 교양으로 이수한 과목을 인정받을 수 없는지요?
참고1 면제과목이란 : 타 학부로 다전공을 할 때 다전공하지 않는 전공의 학부기초과목 중 이수하지 않아도 되는 과목
참고2 인정과목이란 : 타 학부로 다전공을 할 때 다전공 시작 이전에 이수했던 과목 중 다전공 과목으로 인정받을 수 있는 과목
제2, 제3전공에 대한 졸업논문을 각각 제출해야만 하나요?
신설 또는 통·폐합 등의 사유로 교육과정 개설이 안된 전공(학과)에서의 다전공이 가능한가요?
편입생의 다전공시 유의사항은?
정보관리부서 : 학사관리팀 및 탈메이지교양·융합대학 교학팀
최종 수정일 : 2022-04-29